Original Articles

Aquatic Nature. 30 June 2021. 15-23
https://doi.org/10.23135/an.2021.1.1.2

ABSTRACT


MAIN

  • 1. 서론

  • 2. 재료 및 방법

  • 3. 결과 및 고찰

  • 4. 결론

1. 서론

한국 서남해안 해역은 많은 섬들로 이루어져있으며, 해안선의 굴곡이 심하고 수온, 수심, 해류 및 탁도의 측면에서 매우 복합적인 해황적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Choi 1992).

한국 서남해안에 위치한 흑산도 인근 해역의 해조류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1814년 정약전의 자산어보에서 35종의 기록으로부터 비롯된다. 이후 Kang (1966)의 “한국산 해조류의 지리적 분포”에서 흑산도, 소흑산도(가거도 옛 명칭), 홍도 등의 도서지역의 해조상이 파악되었다. 그 후, Kang and Song (1984)의 홍도와 가거도, Lee and Park (1986)의 홍도, Kang et al. (1993)의 홍도와 만재도, Oh et al. (2013)의 홍도와 흑산도 등 많은 연구자에 의해 서남해안 도서의 해조류에 관한 연구들이 추가적으로 수행되었다.

가거도 해역은 지리적으로 서해안의 최남단인 동시에 남해안의 서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육지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 해조류의 분포론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이 지역에 대한 연구는 Kang (1966)이 처음으로 14종을 보고하였으며, Kang and Song (1984)이 94종, Lee et al. (1987)이 81종, Choi and Lee (1988)이 143종, Choi et al. (1993)이 180종, Oh and Jung (1999)이 52종, Kim and Choi (2002)가 10종, Oh and Choi (2009)가 56종, Jung (2016)이 136종을 보고한 바 있다. 각 선행된 연구에서 밝혀진 가거도의 해조류 출현종 수는 조사 정점의 수, 조하대 조사의 유무, 조사 횟수의 차이에 따라 매우 변화가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가거도와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 있는 서남해권 다른 유인도 해조류에 관한 연구(Lee et al. 1987; Oh and Lee 1989; Lee and Park 1994)는 일부 있지만 최근의 가거도 해조류에 관한 정보는 Jung (2016)을 제외하고는 전무한 실정이다.

비록 본 연구는 2012년 수행된 국토해양부 무인도서 실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가거도 인근에 위치하는 9개의 무인도서를 대상으로 한 정성적인 조사라는 한계가 있지만 지리적으로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이 해역 무인도서의 해조류에 관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 재료 및 방법

본 연구는 2012년 7월 전라남도 신안군 가거도 인근 9개의 무인도서에서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간조시 노출되는 조간대 지역에서 조사가 수행되었다(Fig. 1, Table 1). 각 무인도서에서 해조류 생육이 가장 양호한 지점을 선택하여 암반 조간대의 상부부터 하부까지 경사면을 따라 내려가면서 다양한 해조류를 채집 및 관찰하는 정성 조사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조간대의 구분은 평균해수면 기준으로 200 cm 이상(상부), 199-100 cm (중부), 100 cm 이하(하부)로 나누어 채집 및 관찰하였다. 채집된 해조류는 현장에서 바로 해수포르말린(5~10%)으로 고정시켜 실험실로 운반하였으며, 종의 동정은 육안과 현미경을 통해 이루어졌다. 종의 내부구조는 도수절편 제작방법으로 조직의 절편을 만들어 슬라이드 글라스에 올려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종의 특성을 파악한 후 기존의 도감과 비교하며 동정을 수행하였다(Lee 2008). 동정된 해조류의 학명과 목록은 국가 해양수산생물종 목록집(MABIK 2021) 및 AlgaeBase (Guiry and Guiry 2021)를 참고하여 정리하였다. 해조상 특성은 Cheney (1977)의 (R+C)/P 값을 이용하였으며, 해조류의 출현종 유·무를 기준으로 PRIMER version 5 를 사용하여 정점간 유사도를 분석하였다(Clarke and Gorley 2006).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p/2021-001-01/N0310010102/images/ksp_01_01_02_F1.jpg
Fig. 1

A map showing the sampling sites for this study (SG: Soguldo, DG: Daeguldo, SB: Sangbanggonchodo, JD: Jeungdo, SM: Sumando, RD: Ryukdo, ND: Napdeokdo, HB: Habanggonchodo, OG: Oeganchodo).

Table 1.

Location of sampling sites for this study.

Sites Abbreviation Location
Soguldo SG 34° 07'03''N, 125° 04'41'E
Daeguldo DG 34° 07'02''N, 125° 05'04'E
Sangbanggonchodo SB 34° 06'51''N, 125° 05'33'E
Jeungdo JD 34° 06'21''N, 125° 05'53'E
Sumando SM 34° 05'52''N, 125° 05'34'E
Ryukdo RD 34° 05'47''N, 125° 05'38'E
Napdeokdo ND 34° 04'30''N, 125° 05'03'E
Habanggonchodo HB 34° 04'30''N, 125° 05'01'E
Oeganchodo OG 34° 03'44''N, 125° 05'41'E

3. 결과 및 고찰

조사지역은 우리나라의 최남단인 동시에 서단에 위치해있고, 육지와 멀리 떨어져 있어 연구를 위한 접근성이 좋지않아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거도의 9개 조사지점에서 채집 및 관찰된 해조류는 녹조류 1종, 갈조류 6종, 홍조류 26종으로 총 33종이었다(Table 2). 출현종의 구성비는 녹조류 3.03%, 갈조류 18.18%, 홍조류 78.79%로 홍조류가 가장 높은 비율로 출현 하였다. 조사 지점별 출현종수는 소굴도에서 갈조류 5종, 홍조류 16종으로 총 21종이 출현하여 가장 많은 출현종수를 나타냈고, 외간초도에서 갈조류 1종, 홍조류 2종, 총 3종으로 가장 적은 출현종수를 보였다(Table 2). 9개 무인도서에서 가장 많은 빈도로 출현한 종은 홍조류 작은구슬산호말(Corallina pilulifera)로서 8개 도서에서 확인되었고, 갈조류 톳(Sargassum fusiforme)과 홍조류인 불등풀가사리(Gloiopeltis furcata)가 7개 도서에서 확인되어 가거도 인근 무인도에서 가장 흔하게 출현하였다. 반면 일반적으로 전국의 연안에서 흔히 발견되고 있는 녹조류 구멍갈파래(Ulva australis)는 단지 2개의 섬에서만 확인되었다(Table 2).

Table 2.

Marine algal species collected from uninhabited islands around Gageodo, south-western coast of Korea (SG: Soguldo, DG: Daeguldo, SB: Sangbanggonchodo, JD: Jeungdo, SM: Sumando, RD: Ryukdo, ND: Napdeokdo, HB: Habanggonchodo, OG: Oeganchodo).

Species SG DG SB JD SM RD ND HB OG
Chlorophyceae
Ulva australis + +
Phaeophyceae
Leathesia marina +
Hydroclathrus clathratus +
Sargassum fusiforme + + + + + + +
Ishige okamurae + + + + +
Undaria pinnatifida + + + +
Pseudoralfsia verrucosa +
Rhodophyceae
Ceramium sp. +
Acrosorium polyneurum +
Chondria crassicaulis + + +
Laurencia venusta + +
Polysiphonia morrowii +
Polysiphonia sp. +
Symphyocladia latiuscula + +
Corallina pilulifera + + + + + + + +
Crustose coralline algae + + + + + + + + +
Gelidium divaricatum + +
Gelidium elegans + +
Pterocladiella capillacea +
Caulacanthus okamurae + +
Dumontia simplex +
Gloiopeltis furcata + + + + + + +
Gloiopeltis tenax + + + + + +
Chondracanthus intermedius + +
Chondrus ocellatus + + + + +
Ahnfeltiopsis flabelliformis +
Gracilaria cuneifolia +
Grateloupia elata + + +
Grateloupia elliptica +
Grateloupia prolongata +
Pachymeniopsis lanceolate + +
Nemalion vermiculare + + +
Lomentaria flaccida +
Sum 21 16 13 8 6 7 10 6 3
33

가거도 인근 해역의 선행연구에서 하계 해조류의 출현종 수는 하태도(Oh and Lee 1989)에서 106종, 자은도(Choi et al. 1991)에서 73종, 신안군(Oh et al. 2005) 63종, 도초도(Park et al. 2009)에서 52종, 하의도(Park et al. 2012) 9종, 흑산도(Oh et al. 2013)에서 35종, 홍도(Kang et al. 1993; Oh et al. 2013)에서 129종과 41종, 만재도(Kang et al. 1993)에서 55종, 소흑산도(Kang and Song 1984)에서 96종으로 조사 정점에 따라 변화 폭이 매우 컸다(Table 3). 선행 연구 중 Kang and Song (1984)의 조사 지역인 소흑산도는 가거도의 옛 명칭으로 동일한 섬으로 확인되는데, 본 연구에서 출현한 종수와 확연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같은 계절에 조사가 되었으나 조사정점의 차이와 본 연구에서 조하대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던 점이 출현종수에 있어 큰 차이의 원인으로 생각된다. 이와 비슷하게 본 연구와 정점 및 조사시기(2013년 8월, 2014년 10월, 2015년 3월)가 비슷한 Jung (2016)에 의하면, 3계절동안 녹조류 11종, 갈조류 30종, 홍조류 95종으로 총 136종의 해조류가 채집되었고, 그 중 이번 조사와 시기적으로 비슷한 8월 조사의 출현종수를 비교해보았을 때 총 75종으로 본 연구의 33종보다 출현 종수가 많았다. 이는 Jung (2016)의 연구가 조하대 조사가 수행되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Jung (2016)의 조사 정점 중 가거도의 개린여는 본 연구의 상방곤조도와 매우 근접한데, 갈조류인 톳(Sargassum fusiforme)과 홍조류인 불등풀가사리(Gloiopeltis furcata)가 공통으로 출현하였고, Jung (2016)의 조사 정점 중 가무작지는 본 연구의 수만도와 륙도와 근접한데 갈조류인 톳이, Jung (2016)의 조사 정점 중 항리는 본 연구의 납덕도와 하방곤조도와 근접한데, 구멍갈파래(Ulva australis), 작은구슬산호말(Corallina pilulifera), 진두발(Chondrus ocellatus)이 공통으로 출현하였다. 그러나 공통적으로 출현하는 종이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전역의 조간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종이기에 공통 출현 종의 특별한 의미는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Table 3.

A comparison of summer algal flora among several localities located at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Localities Chlorophyceae Phaeophyceae Rhodophyceae Sum (R+C)/P Reference
Hataedo 10 20 76 106 4.3 Oh and Lee 1989
Jaeundo 16 13 44 73 4.6 Choi et al. 1991
Dochodo 10 15 27 52 2.5 Park et al. 2009
Hauido 3 3 2 9 1.7 Park et al. 2012
Heuksando 3 10 22 35 2.5 Oh et al. 2013
Hongdo 10 26 93 129 4.0 Kang et al. 1993
5 10 26 41 3.1 Oh et al. 2013
Manjedo 1 10 44 55 4.5 Kang et al. 1993
Sohuksando 8 19 65 96 3.8 Kang and Song 1984
Gageodo 1 6 26 33 4.5 This study

해조류의 출현종 유·무를 기준으로 PRIMER version 5 를 사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45% 수준에서 세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졌다(Fig. 2). 이 세 그룹 중 첫번째 그룹은 단지 수만도만 분리되었는데, 다른 무인도서와 비교되게 녹조류와 갈조류는 출현하지 않고 홍조류만 출현한 특성을 보였다. 두번째 그룹에서는 납덕도, 외간초도, 증도, 륙도, 하방곤조도가 포함되었는데, 이 그룹에서는 3종~10종의 해조류가 출현하였다. 세번 째 그룹은 소굴도, 대굴도, 상방곤조도가 해당되는데, 출현종수는 13종에서 21종으로 출현종이 두 그룹에 비해 높았으며, 개서실(Chondria crassicaulis), 애기서실(Laurencia venusta), 참보라색우무(Symphyocladia latiuscula), 애기돌가사리(Chondracanthus intermedius) 등 두번 째 그룹에서 출현하지 않은 종들이 다수 확인되었다. 이 분리된 그룹별로 묶으면 수만도는 예외로 하고, 가거도와 다소 멀리 떨어져 있는 세번째 그룹과 가거도와 근접에 있는 두번째 그룹으로 분리되어 있는 모습을 확인 할 수 있었다(Fig. 1).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p/2021-001-01/N0310010102/images/ksp_01_01_02_F2.jpg
Fig. 2

Results of cluster analysis performed on Bay Curtis similarity from standardized species presence/absence transformed data from uninhabited islands around Gageodo, south-western coast of Korea. See the abbreviation of islands in Fig. 1.

선행 연구의 하태도(Oh and Lee 1989), 자은도(Choi et al. 1991), 도초도(Park et al. 2009), 하의도(Park et al. 2012), 홍도(Kang et al. 1993), 만재도(Kang et al. 1993), 가거도(Jung 2016)에서의 하계 출현종 목록으로 PRIMER version 5 를 사용하여 군집분석한 결과는 Fig. 3과 같다. 이번 연구는 자은도와 34%의 수준에서 가장 유사한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리적으로 동일한 도서(Jung 2016), 또는 가까운 다른 도서인 홍도와 만재도(Kang et al. 1993)와는 다소 유사도에 있어 차이를 보였다. 이는 조하대 조사에서 출현하였던 다른 해조류 출현종의 결과로 추측된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p/2021-001-01/N0310010102/images/ksp_01_01_02_F3.jpg
Fig. 3.

Results of cluster analysis performed on Bay Curtis similarity from standardized species presence/absence transformed data from islands around south-western coast of Korea (Original data from Hauido (Park et al. 2012), Dochodo (Park et al. 1991), Hataedo (Oh and Lee 1989), Jaeundo (Choi et al. 1991), Gageodo (Jung 2016), Hongdo and Manjedo (Kang et al. 1993)).

해조상의 특성을 분석하는 지표로 Cheney (1977)는 (R+C)/P 값을 사용하였는데, 본 연구가 하계의 한 계절에만, 또한 조하대의 조사가 수행되지 못해서 단정적으로 이 값을 이용하여 해조상의 특성을 파악하기에는 무리가 많지만, 본 연구의 (R+C)/P 값은 4.5로 산출되어 혼합성 해조상으로 볼 수 있을것이다. Oh et al. (2013)에서 흑산도와 홍도의 하계 (R+C)/P 값은 2.5와 3.1로서 각각 온대성 해조상과 혼합성 해조상을 보였으며, 서남해안의 유인 및 무인도서의 하계 해조상을 (R+C)/P 값으로 비교했을 때, 하태도와 자은도, 홍도, 만재도는 혼합성 해조상으로 신안군과 도초군도, 하의도, 흑산도는 온대성 해조상으로 확인되었다(Table 3).

가거도의 조간대에 생육하는 해조류의 수직분포를 보면 상부에서는 갈조류인 패(Ishige okamurae), 홍조류인 불등풀가사리(Gloiopeltis furcata), 참풀가사리(Gloiopeltis tenax), 중부에서는 갈조류인 패, 홍조류인 작은구슬산호말(Corallina pilulifera), 진두발(Chondrus ocellatus), 하부에서는 갈조류인 톳(Sargassum fusiforme), 미역(Undaria pinnatifida), 홍조류인 작은구슬산호말(Corallina pilulifera)이 우점하여 출현하였다(Table 4).

Table 4.

Table 4. Vertical distribution of dominant seaweeds growing at summer season of several localities located at south-western coast of Korea.

Localities / Vertical zone Upper Middle Lower Reference
Dochodo Ishige okamuraePalisada intermediaSymphyocladia latiusculaPark et al. 2009
Geomundo Gloiopeltis furcataIshige sinicolaSargassum honeriKoh 1990
Gelidium divaricatumSargassum fusiformeChondracanthus intermedius
Sargassum thunbergiiCorallina pilulifera
Gloiopeltis furcataUlva compressaGelidium amansiiPark et al. 2009
Gumgap Caulacanthus ustulatusSargassum thunbergiiSargassum thunbergiiYoo et al. 2015
Gelidiophycus freshwateriIshige okamuraePalisada intermedia
Ulva conglobataIshige foliaceaSargassum fusiforme
Gwanmaedo Sargassum thunbergiiMyelophycus simplexSargassum fusiformeHan et al. 2016
Gloiopeltis furcataSilvetia siliqousaSargassum thunbergii
Ishige okamurae
Hauido Caulacanthus okamuraeUlva proliferaScytosiphon lomentariaPark et al. 2012
Ulva compressaGracilariopsis longissima Ulva australis
Heuksando Gloiopeltis furcataSargassum thunbergiiSymphyocladia latiusculaPark et al. 2009
Myelophycus simplexGloiopeltis tenaxSargassum thunbergiiOh et al. 2013
Gloiopeltis furcataSargassum thunbergiiSargassum fusiforme
Ulva australis
Hongdo Caulacanthus okamuraeUlva compressaGelidium amansiiPark et al. 2009
Gloiopeltis furcataMyelophycus simplexSargassum fusiformeOh et al. 2013
Gloiopeltis tenaxSargassum thunbergiiSargassum thunbergii
Ulva proliferaSargassum fusiformeUlva australis
Jaeundo Gloiopeltis furcataUlva australisChondria crassicaulisChoi 1992
Gelidium divaricatumSargassum thunbergiiCorallina pilulifera
Sargassum fusiformeSymphyocladia latiuscula
Sohuksando (Gageodo) Gloiopeltis furcataUlva australisSargassum fusiformeChoi and Lee 1988
Myelophycus simplexCorallina pilulifera
Yeongsando Sargassum thunbergiiMyelophycus simplexCorallina piluliferaHan et al. 2016
Gloiopeltis furcataUlva australisSargassum fulvellum
Gelidiophycus freshwateriCaulacanthus ustulatusSargassum fusiforme
Gageodo Ishige okamureIshige okamureUndaria pinnatifida This study
Gloiopeltis furcataChondrus ocellatusSargassum fusiforme
Gloiopeltis tenaxCorallina piluliferaCorallina pilulifera

가거도와 서남해안에 위치한 도초도(Park et al. 2009), 금갑(Yoo et al. 2015), 관매도(Han et al. 2016), 하의도(Park et al. 2012), 흑산도(Park et al. 2009), 홍도(Park et al. 2009; Oh et al. 2013), 자은도(Choi 1992), 영산도(Han et al. 2016) 및 동일한 위도에 위치한 거문도(Koh 1990; Park et al. 2009)의 해조류 수직분포를 비교한 결과 (Table 4)에서 가거도 인근 무인도서의 수직분포는 하의도를 제외하고 모든 섬과 매우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신안군 가거도 인근 무인도서의 해조류 수직분포는 서남해안 인근의 다른 도서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본 연구 결과 비록 계절조사 중 하계만 실시된 점과 조간대 지역만 조사가 진행되었고, 정량적인 조사 결과까지 수행되지 못하여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단정적인 결론을 내리기에는 무리가 많지만 이곳 해조상은 크게 변화는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접근성이 좋지않아 주기적인 해조류와 관련된 자료를 축적하기에는 쉽지 않지만 지역의 특수성과 기후변화가 예상되는 상황속에서 우리나라 서남단 해역에서의 해조류에 관한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변화 양상을 관찰해보는 것이 매우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4. 결론

본 연구에서는 가거도의 9개 조사지점에서 채집 및 관찰된 해조류는 녹조류 1종, 갈조류 6종, 홍조류 26종으로 총 33종이었다. 9개 무인도서에서 가장 많은 빈도로 출현한 종은 톳, 작은구슬산호말, 불등풀가사리로 확인되었다. 유사도지수에 따른 군집분석 결과 45% 수준에서 세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졌는데, 세 그룹이지만 수만도는 예외로 하고, 가거도와 떨어져 있는 도서 그룹과 가거도와 근접에 도서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가거도의 조간대에 생육하는 해조류의 수직분포를 보면 상부에서 패, 불등풀가사리, 참풀가사리가 중부에서 작은구슬산호말, 진두발이 하부에서 톳, 미역, 작은구슬산호말 순으로 분포하여 서남해안 인근의 다른 도서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References

1
Cheney DP. 1977. R and C/P - a new and improved ratio for comparing seaweed floras. Suppl. J. Phycol. 13, 12-12.
2
Choi DS. 1992. On the state of marine algal resources in the west-southern coast of Korea. Bull. Inst. Litt. Biota, Mokpo National Univ. 9, 81-103.
3
Choi DS, Cheon KB, Chung BK and Park JH. 1991. Marine algal flora of Jaeundo, west-southern coast of Korea. Bull. Inst. Litt. Biota, Mokpo National Univ. 8, 119-135.
4
Choi DS and Lee IK. 1988. Study of marine algae of Heuksan islands, . Bull. Inst. Litt. Biota, Mokpo National University 5, 45-58.
5
Clarke KR and Gorley RN. 2001. PRIMER V5: User Manual/Tutorial. PRIMER-E Ltd, Plymouth, UK.
6
Guiry MD and Guiry GM. 2021. AlgaeBase. World-wide electronic publication,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Retrieved fromhttp://www.algaebase.org on 27 April 2021.
7
Han SJ, Jeon DV, Lee JR, Na YJ, Park SK and Choi HK. 2016.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at Gwanmaedo and Yeongsando,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9(1), 53-60. 10.5657/KFAS.2016.0053
8
Jung SW. 2016. Marine algal flora Gageodo island, west-southern coast of Korea. M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Gyeonsangnamdo, Korea, 234pp.
9
Kang JW. 1966.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marine algae in Korea. Bull. Pusan Fish. Coll. 7, 1-125.
10
Kang JW and Song CB. 1984. A ecological study of marine benthic algae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 J. Nat. Acad. Rep. Korea 23, 195-219.
11
Kang RS, Je JK and Sohn CH. 1993. Summer algal communities in the rocky shore of south sea of Korea II . Subtidal communities. J. Kor. Fish Soc. 26(2), 182-197.
12
Kim KY and Choi TS. 2002. Report of natural environment survey of uninhabited islands: Jellanamdo: Shinan-gun (IV), 134-190.
13
Kim MS, Kim MR, Chung MH, Kim JH and Chung IK. 2008. Species composition and biomass of intertidal seaweeds in Chuja island. Algae 23(4), 301-310. 10.4490/ALGAE.2008.23.4.301
14
Koh NP. 1990. An ecological study on resources of marine plants in Geomundo islands. Korean J. Phycol. 5, 1-37.
15
Lee IK, Kim HS and Chung HS. 1987. A summer marine algal flora of Heuksan islands, south-western coast of Korea. Rep. Surv. Nat. Environ. Korea 6, 257-284.
16
Lee JW and Park KY. 1986. Studies on the spring marine algal flora of Hongdo, southwestern coast of Korea. Bull. Inst. Litt. Biota, Mokpo National Univ. 3(1), 61-68.
17
Lee JW and Park KY. 1994. Spring marine algal flora of Hongdo. Rep. of Kunsan National Univ. Aqua. Res. Inst. 1, 93-100.
18
Lindstrom SC. 2009. The biogeography of seaweeds in southeast Alaska. J. Biogeography 36, 401-409. 10.1111/j.1365-2699.2007.01855.x
19
MABIK. 2021. National List of Marine Species. III. Marine Plants.
20
Oh BG and Lee HB. 1989. A summer marine algal flora of Hatae islands, southwestern coast of Korea. J. Ind. Sci. Res., Chongju Univ. 7, 163-172.
21
Oh BG, Lee JW and Lee HB. 2005. Summer marine algal vegetation of uninhabited islands in Sinangun, southwestern coast. Algae 20(1), 53-59. 10.4490/ALGAE.2005.20.1.053
22
Oh JC, Park SK, Choi HG and Nam KW. 2013. Seasonal variation in biomass and community structure of intertidal seaweeds at Heuksando and Hongdo, southwestern coast of Korea. J. Kor. Fish Soc. 46(6), 878-885. 10.5657/KFAS.2013.0878
23
Oh YS and Jeong YH. 1999. Report of 2nd natural environment survey of uninhabited islands: Soheuksando, 121-132.
24
Oh YS and Choi SK. 2009. Report of 2009 detailed investigations of specified islands, Shinan-gun, 299-435.
25
Orfanidis, S, Panayotidis, P and Stamatis, N. 2001. Ecological evaluation of transitional and coastal and water; A marine benthic macrophytes-based model. Mediterranean Marine Science 2, 45-65. 10.12681/mms.266
26
Park CS, Park KY and Hwang EK. 2012. Algal flora of Hauido tidal flats in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Korean J. Environ. Biol. 30(3), 193-199.
27
Park CS, Lee KW, Kim GB, Cho YS, Oh JG and Hwang EK. 2009. Summer algal flora of Dadohae National Park, southwestern coast of Korea. Korean J. Enviro. Biol. 27(3), 252-260.
28
Wells, E, Wilkinson, M, Wood, P and Scanlan, C. 2007. The use of macroalgal species richness and composition on inter tidal rocky seashores in the assessment of ecological quality under the European water framework directive. Mar. Pollut. Bull. 55, 151-161. 10.1016/j.marpolbul.2006.08.03117074370
29
Yoo HI, Heo JS and Choi HG. 2015. Seasonal variability of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at Gumgap, Jindo, on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Jour. Fish. Mar. Sci. Edu. 27(1), 300-307. 10.13000/JFMSE.2015.27.1.300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