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riginal Article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n Gamak Bay in Fall, 2021
    Kyeongwon Park, Yeongji Oh and Yoonja Ka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n Gamak Bay in Fall, 2021 was characterized by nutritional modes. While physiochemical parameters were measured, phytoplankton … + READ MOR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n Gamak Bay in Fall, 2021 was characterized by nutritional modes. While physiochemical parameters were measured, phytoplankton community was analyzed using a light microscope for microplankton and flow cytometry for picoplankt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correlation analysis (CA),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assess the correlation of major phytoplankton groups with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for autotrophs and prey for mixo/heterotrophic protists. Diatoms were most abundant at Yeosu Harbor and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diatoms were most correlated with phosphate. In Inner Bay, dinoflagellates were abundant and largely associated with autotrophic bacteria. This study highlights that nutritional strategies can govern the distribution of major phytoplankton groups in Gamak Bay in the fall. - COLLAPSE
    30 June 2023
  • Original Articles

    Management Plan of Marine Forests on the Coast of Korea

    한국 연안 바다숲 관리 방안

    Ock In Choi, Chang Geun Choi, Su Yeong Yeon, Ju Won Kwak, Kwang Bok Kim, Im Ho Choi and Sung Hak Kim

    최옥인, 최창근, 연수영, 곽주원, 김광복, 최임호, 김성학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an ecological evaluation method and management plan for the restoration of marine forests in Korea. Six …

    이 연구는 한국의 바다숲 복원을 위한 생태학적 평가 방법과 관리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바다숲의 생태학적 평가 방법을 위하여 6개의 인자(자연 암반, …

    + READ M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an ecological evaluation method and management plan for the restoration of marine forests in Korea. Six factors (natural bedrock, transparency, diversity index, biomass, crustose coralline algae, and herbivores) were selected for the ecological evaluation method of marine forests, and each of the six factors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and reduction of marine forests. The management plan stage of the marine forest was divided into 5 stages according to the ecological status (very good, dood, normal, bad, very bed). The step-by-step action plan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marine forest was divided into monitoring, ecological restoration, artificial restoration, and environmental resto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efficient management of marine forests in Korea, and research should be continued to maintain marine forests in the future.


    이 연구는 한국의 바다숲 복원을 위한 생태학적 평가 방법과 관리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바다숲의 생태학적 평가 방법을 위하여 6개의 인자(자연 암반, 투명도, 다양도 지수, 생체량, 무절산호말류, 조식동물)를 선택하였고, 6개 각 인자는 바다숲 확장과 축소에 영향을 미치는 기여도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하였다. 바다숲의 관리 방안 단계는 생태학적 상태(매우 양호, 양호, 보통, 불량, 매우 불량)에 따라 5단계로 구분하였다. 바다숲의 보전과 복원에 대한 단계별 실행계획은 모니터링, 생태학적 복원, 인공적 복원, 환경적 복원으로 구분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바다숲의 효율적인 관리 방안에 이용될 수 있으며, 앞으로도 바다숲을 유지하기 위해서 지속적인 연구를 하여야 한다.

    - COLLAPSE
    30 June 2023
  • Original Articles

    Research on Efficacy Analysis for Industrial Use of Sea Urchin

    성게의 산업적 활용을 위한 효능 분석 연구

    Gwang Bok Kim, Chang Ho Lee and So Hyeon Lee

    김광복, 이창호, 이소현

    In this study, anti-inflammatory, whitening activities of Sea urchin ethanol (SUE) extract were evaluated by use of in vitro assays and cell …

    본 연구는 성게를 활용한 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영덕과 고성에서 구제한성게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미백 효과를 측정하였다. 성게 에탄올 추출물이 세포에 …

    + READ MORE
    In this study, anti-inflammatory, whitening activities of Sea urchin ethanol (SUE) extract were evaluated by use of in vitro assays and cell culture model systems. The cytotoxic effect of SUE extract on cell was examined by the MTT assay. Cells treated with the SUE extract showed a cell viability of 100% or more, therefore, it was determined that there was no cytotoxicity.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SUE extract were investigated using RAW264.7 cells treated with lipopolysaccharide (LPS). The effect of SUE extract on nitric oxide(NO) inhibitory activity in LPS-stimulated RAW264.7 macrophages was examined. The SUE extract was used at concentrations of 100, 200, and 400 µg/mL with non cytotoxicity.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NO production inhibitory ability of SUE exteact on LPS-stimulated macrophages, it inhibited NO production by 3.64%, 12.36%, and 32.89% at concentrations of 100, 200, and 400 µg/mL. Whitening effects of SUE extract were evaluated by melanin contents from Alpha-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α-MSH) treatmented B16F10 cells. SUE extract inhibited melanin production by 40.80% and 43.58% at concentrations of 100 and 400 µg/mL.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provide the important new insight that SUE possesses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inflammatory and anti-melanogenic.


    본 연구는 성게를 활용한 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영덕과 고성에서 구제한성게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미백 효과를 측정하였다. 성게 에탄올 추출물이 세포에 미치는 독성 여부를 특정하기 위하여 MTT assay를 활용하여 조사한 결과, RAW264.7 세포와 B16F10 세포 모두에서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세포에 독성이 나타나지 않은 성게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은 LPS (lipopolysaccharide) 처리한 RAW264.7 세포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LPS로 자극 된 RAW264.7 대식세포에서 SUE-Y 추출물과 SUE-G 추출물이 산화질소(NO) 억제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두 지역에서 채취한 성게 추출물은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은 100, 200, 400 µg/mL 농도에서 NO 생성을 평균적으로 3.64%, 12.36%, 32.89% 억제하였다. 항염증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 양상을 측정한 결과, 항염증 관련 유전자인 iNOS, COX-2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성게 추출물의 미백 효과는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α-MSH)이 처리된 B16F10 세포의 멜라닌 함량 억제능을 측정하여 효능을 평가하였다. 성게 추출물은 100, 200, 400 µg/mL 농도에서 멜라닌 생성을 평균적으로 약 10.80, 20.89, 43.58% 억제하였으며, melanin 생성에 관여하는 tyrosinase 효소 역시 8.32%, 33.83%, 46.15%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종합하면, 성게 에탄올 추출물이 NO 및 멜라닌 생성, tyrosinase 효소 활성 억제에 우수한 효능을 보이며, 따라서 성게 에탄올 추출물은 항염증 및 미백활성에 우수한 효능을 가진 기능성 식품 소재 및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 COLLAPSE
    30 June 2023
  • Original Articles

    Cyanobacteria Akinete in Sediment Cores from the Gonggeomji Wetland in Korea

    공검지 고퇴적물(paleo-sediments)에서 남조류 휴면포자 출현 및 형태 분석에 관한 연구

    Daeryul Kwon, Chae-Hong Park, Keonhee Kim, Hyeonjin Cho, Jin-Young Lee, Hoil Lee and Sang Deuk Lee

    권대률, 박채홍, 김건희, 조현진, 이진영, 이호일, 이상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akinete of Nostocales cyanobacteria in sediments in Gonggeom-ji expected to be …

    본 연구는 호소 및 습지로 예상되는 공검지 지역 내 고퇴적물에서 염주말목(Nostocales) 남조류의 휴면포자(akinete)의 분포 및 남조류 발생 기록을 설명하고 연대분석 결과와 휴면포자 …

    + READ M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akinete of Nostocales cyanobacteria in sediments in Gonggeom-ji expected to be lakes and wetlands, and to identify past ancient environments through chronological analysis results and akinete ecological features. The investigation target sites were conducted at 3 sites in the Gonggeom-ji area located in Sangju, and drilling was used to collect sedimentary soil. In order to analyze the formation period of the sedimentary layer, a chronological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appearance, separation,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yanobacteria akinete were conducted at intervals of 10cm. Two types of akinete were observed through a microscope, type 1 showed similar results to the length and width of akinete of the Dolichospermum genus mentioned in previous studies, and type 2 showed similar shapes to the length and width of akinete of the Aphanizomenon genus mentioned in previous studies. Therefore, the two types of akinetes from this study could be inferred as akinetes of the Dolichospermum and Aphanizomenon genus. Akinetes of type 1 were observed at St. 1 and 2, while akinetes of type 2 were observed at St. 2 and 3. The era of akinetes appeared in various sections from the 1,800 s to the 1,500 s BC. Cyanobacteria akinetes can be used as fossil indicators, and through these studies, valuable records of past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survey area can be obtained, and paleontological data can be used to interpret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lake.


    본 연구는 호소 및 습지로 예상되는 공검지 지역 내 고퇴적물에서 염주말목(Nostocales) 남조류의 휴면포자(akinete)의 분포 및 남조류 발생 기록을 설명하고 연대분석 결과와 휴면포자 생태적 특징을 통하여 과거 고환경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 지점은 상주에 위치한 공검지 일대 3개 지점에서 진행하였으며 퇴적토를 채취하기 위하여 시추를 시용하였다. 퇴적층의 형성시기를 분석하기 위하여 연대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채집된 샘플을 대상으로 10cm 간격으로 남조류 휴면포자의 출현 유무와 분리 및 형태적 특징 분석을 진행하였다. 현미경을 통해 관찰된 남조류 휴면포자는 두가지 형태가 관찰되었으며, type 1은 Dolichospermum (=Anabaena) 속의 휴면포자의 폭 및 너비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며, type 2는 Aphanizomenon 속의 휴면포자의 형태와 유사한 특징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나온 2개의 휴면포자는 Dolichospermum 속과 Aphanizomenon 속의 휴면포자로 유추할 수 있었으며, type 1의 휴면포자는 St. 1, 2 지점에서 관찰이 된 반면, St. 2, 3에서는 type 2의 휴면포자가 관찰되어 지점 특이적인 분포양상을 보였다. 휴면포자가 출현한 연대는 기원전 1,800년대에서 1,500년대까지 다양한 구간에서 출현하였다. 남조류 휴면포자는 화석지표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조사 지역의 과거 환경변화에 대한 귀중한 기록을 획득할 수 있으며 고생물 데이터를 통해 호수의 고환경변화에 대한 해석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COLLAPSE
    30 June 2023